본문 바로가기
사 람【人】

헤게모니(hegemony)

by 禱憲 2008. 7. 5.
728x90

헤게모니(hegemony)



가장 통상적인 의미에서 한 집단・국가・문화를 지배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며 사전적인 의미는 한 나라의 연맹제국에 대한 지배권, 맹주권, 패권(覇權)을 말한다. 오늘날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한 집단・국가・문화가 다른 집단・국가・문화를 지배하는 것을 가리킨다. 20세기가 시작된 이래 특히 미국과 같은 초강대국의 활동과 관련하여 이 용어는 정치적 지배라는 함의(含意)를 지니게 되었다.


헤게모니라는 개념은 한편으로는 국가기구나 정치사회가 그들의 법률적 제도, 군대, 경찰, 감옥 등을 통하여 다양한 사회계층을 어떻게 지배하는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배집단이 현 상황을 유지하기 위하여 국가기구들을 강제적으로 사용하는 방식과 함께 정치사회와 시민사회가 현 상황에 대한 다양한 사회계층들의 자발적인 동의(同意)를 어떻게 창출해내는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대부분의 이론가와 비평가들은 헤게모니라는 말을 무심코 또는 정확한 의미의 규명없이 혼란스럽게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마르크스주의적・포스트구조주의적 비평에서 볼 때 이 용어는 상당히 복합적이고 전문화된 의미를 지닌다.


헤게모니의 이론적 개념이 정립된 것은 이탈리아 공산당의 창설자인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의 작업을 통해서이다. 그는 마르크스주의의 결정론적 해석과 배네데토 크로체(Benedetto Croce)의 관념철학에 반대하여 변증법적 유물론과 사적 유물론의 통일을 주장하면서 헤게모니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안토니오 그람시는 《옥중수고 Prison Notebooks》에서 계급간의 관계, 특히 브루주아 계급이 노동자 계급에게 행사하는 통제의 의미로써 헤게모니를 설명하였다.


그가 말하는 헤게모니는 한 계급이 단지 힘의 위력으로써 만이 아니라 제도, 사회관계, 관념의 조직망 속에 동의를 이끌어냄으로써 자신의 지배를 유지하는 수단이다.


다시 말하면 성공적인 헤게모니는 지배계급의 이해(利害)를 표현할 뿐만 아니라 종속집단인 피지배 계급으로 하여금 이것을 자연스러운 것, 또는 상식적이며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더 나아가 헤게모니의 기초는 단지 경제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회의 문화생활 속에 존재하는 통합적 관계망이라고 생각하였다.


한편, 그는 대항의 관점에서도 헤게모니를 명료하게 정의하였다.


노동자 계급이 부르주아 헤게모니를 타도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헤게모니를 형성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 새로운 헤게모니는 기존의 부르주아 헤게모니보다 더 거대한 동의 기반을 가질 것이며, 더 많은 집단의 기대와 이해에 부응할 것이다.


이것은 자본주의가 발달한 민주사회에서 사회혁명이 일어나는 프롤레타리아트의 지도성(헤게모니)의 논리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새로운 헤게모니, 즉 프롤레타리아적 헤게모니는 오직 지배적인 헤게모니와의 대립관계에서만 만들어질 수 있다고 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