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의 종류 알아보기
소나무(적송, 육송)
(암꽃)
(수꽃)
솔ㆍ솔나무라고 하며, 한자어로 송(松)·적송(赤松)ㆍ청송이라 한다. 줄기는 높이 35m, 지름 1.8m 정도이며 나무껍질은 오래되면 아래 부분은 거북등처럼 갈라지고 윗부분은 붉은색이므로 적송이라고 한다. 바늘잎은 2개씩 뭉쳐나고 길이 8∼9cm, 너비 1.5mm로 밑 부분의 비늘은 2년이 지나서 떨어진다.
꽃은 5월에 피고 수꽃은 새 가지의 밑 부분에 달리며 노란색으로 길이 1cm의 타원형이다. 암꽃은 새 가지의 끝부분에 달리며 자주색이고 길이 6mm의 달걀 모양이다. 열매는 달걀 모양으로 길이 4.5cm, 지름 3cm이며 열매조각은 70∼100개이고 다음해 9∼10월에 노란빛을 띤 갈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길이 5∼6mm, 너비 3mm의 타원형으로 검은 갈색이며 날개는 연한 갈색 바탕에 검은 갈색 줄이 있다. 잎은 각기·소화불량 또는 강장제로, 꽃은 이질에, 송진은 고약의 원료 등에 약용으로 쓴다. 화분은 송화가루로 다식을 만들며 껍질은 송기떡을 만들어 식용한다. 목재는 재질이 연하고 부드러우며 강인하고 무늬가 아름다워 건축재·펄프용재로 이용되고 테레핀유는 페인트·니스용재·합성장뇌의 원료로 쓰인다. 수형이 부정형으로 아름다워 동양식 정원의 관상수로 이용된다. 도시공간의 정원수로는 공해와 음지에 약하여 적합하치 않다
경상북도 울진에서 시작하여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금강산 일대에 걸쳐 자라며 줄기가 곧바르고 마디가 길고 수피의 밑 부분은 회갈색, 윗부분은 황적색이고 결이 곧은 것을 강송(금강송, 춘양목)이라 하며 중요한 조림 수종이다. 또 줄기가 몇 개씩 올라오고 모양이 원추형으로 아름답게 퍼지는 반송과 가지가 밑으로 처지며 수관이 넓게 퍼지는 처진소나무가 있다. 모양이 비슷한 곰솔과의 구별은 소나무는 수피가 적갈색이고 겨울눈과 새싹이 처음 나올 때 색깔이 적갈색인 반면 곰솔은 수피가 검고 겨울눈과 새싹은 회백색인 것이 차이점이다.
산림청이 일반인을 상대로 좋아하는 나무를 설문한 결과 절반 가까운 45.7%가 소나무를 꼽았다. 2위를 차지한 은행나무가 7.5%에 그쳐 일반인의 소나무에 대한 선호가 압도적임을 보여 줬다. 다음으로 동백나무가 가장 좋다는 응답이 5.5%였고 감나무 3.0%, 향나무와 잣나무가 각 2.9%로 뒤를 이었다.
소나무는 삼국시대부터 우리 선조들의 친근한 나무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때에도 소나무 보호에 대한 기록이 있어나 강력한 소나무 보호정책을 편 것은 조선조에 들어와서이다. 조선조의 개국과 함께 새 도읍지에 궁궐을 신축함으로서 우량한 재질의 소나무는 대량으로 벌채되고 해군력 강화를 위하여 배를 만드는데 많은 소나무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소나무재에 대한 급속한 수요창출로 공급이 부족함으로서 이조 초기에는 강력한 소나무보호정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조선조의 최고 법전인 경국대전에는 송목금벌(松木禁伐)이라는 조항으로서 소나무의 벌채를 규제하고 있었고 세조실록에는 군선에 쓸 나무가 부족하므로 관가나 양반의 집도 우량소나무의 사용을 자제하도록 하였고 서민의 집은 아예 잡목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한편 세종때는 우량소나무가 분포하는 지역의 보호를 위하여 땔나무, 화전 등을 금지한 금산(禁山)지역을 전국에 200여곳 정하고 장부에 기록하여 엄하게 규제하였다 한다. 그러나 조선조의 소나무 보호정책은 군선의 제조기법이 낙후되어 수명이 너무 짧고, 화전을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였으며 송정(松政)의 비효율성 등으로 조선 말기에 오면서 우리나라의 우량소나무는 차츰 고갈되었다. 이는 오늘날 일부 산간 지방과 잘 보호된 지역의 소나무를 제외하면 꼬불꼬불하게 자라는 볼품없는 나무로 전락하는 원인이 되었다. 소나무에 대한 이조시대의 건축재 사용제한은 주요 사찰의 건축재가 무량사 극락전의 기둥의 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젓나무와 느티나무 및 상수리나무 등의 잡목을 사용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 것 같다. 소나무의 사용 예는 건축재, 선박재, 가구재, 조각재 등 일일이 들 수 없을 만큼 많으며 우리의 문화재에서 소나무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다.
강송(금강송)
태백산맥줄기를 타고 금강산에서 울진, 봉화를 거쳐 영덕, 청송 일부에 걸쳐 자라는 소나무는 우리 주위의 꼬불꼬불한 일반 소나무와는 달리 줄기가 곧바르고 마디가 길고 껍질이 유별나게 붉다. 이 소나무는 금강산의 이름을 따서 금강소나무(금강송) 혹은 줄여서 강송이라고 학자들은 이름을 붙였다. 흔히 춘양목이라고 더 널리 알려진 바로 그 나무다. 결이 곱고 단단하며 켠 뒤에도 크게 굽거나 트지 않고 잘 썩지도 않아 예로부터 소나무 중에서 최고의 나무로 쳤다.
소나무는 자라면서 여러 가지 화학물질이 쌓여서 나무의 속이 진한 황갈색을 나타낸다. 이 부분을 옛 사람들은 황장(黃腸)이라 하였으며 가장자리의 백변(白邊)에 비하여 잘 썩지 않고 단단하기까지 하다. 황장이 넓고 백변이 좁은 금강소나무는 나무 중의 나무로서 왕실에 널리 쓰였다. 조선왕조 내내 좋은 소나무 보호를 위하여 황장금표(黃腸禁標)를 세우고 경국대전에 좋은 소나무의 벌채를 법으로 금하는 등 여러 조치를 취하였다.
세월이 지나면서 금강소나무는 차츰 고갈되어 멀리 태백산맥의 오지까지 가서 벌채를 하여 한강을 이용, 서울로 운반하였다. 한강 수계(水系)로의 운반이 불가능한 울진. 봉화지역의 소나무는 그래도 생명을 부지하여 가장최근까지 남아 있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 영주-봉화-태백으로 이어지는 산업철도가 놓이면서 이들도 무차별 벌채되기 시작한다. 조선시대에는 권세 있는 양반이 아니면 지을 수도 없었던 소나무 집을 너도나도 짓기 시작하자 급격한 수요가 생긴 것이다. 이렇게 잘려 나온 금강소나무는 춘양역에 모아두기만 하면 철마(鐵馬)라는 괴물이 하룻밤 사이 서울까지 옮겨다 주었다. 사람들은 춘양역에서 온 소나무란 뜻으로 춘양목이라 부르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모진 수탈에도 그나마 남아있는 곳은 울진군 서면 소광리 일대, 봉화군 춘양면과 소천면 일대이다. 이곳은1981년 유전자 보호림, 1985년 천연보호림으로 지정하여 보호되고 있다.
소나무와 금강소나무는 별개의 나무인가? 그렇게 말하기는 어렵다. 소나무라는 성씨를 가진 종가 집의 자손에는 반송, 금강소나무, 황금소나무등 할아버지나 아버지와 모양새가 같지 않은 몇 종류가 있다. 그렇다고 다른 성바지로 볼만큼 전혀 닮지 않는 것도 아니다. 애매하게 '씨'를 의심받기도 하나 틀림없는 한 자손이므로 이럴 때 우리는 품종(品種)이라고 한다.
금강소나무는 한마디로 조상인 일반 소나무보다 더 잘생긴 소나무의 한품종이다. 일본의 국보 제1호인 반가사유상은 대부분의 일본 목불(木佛)이 녹나무로 만들어진 것과는 달리 재질이 소나무이다. 일부 학자들은 바로 강원도에서 자란 금강소나무를 가져가서 만들었다는 주장을 편다. 그러나 만들어진 불상을 분석하여 나무의 생산지가 한반도인지 일본인지를 아는 방법은 없다.
곰솔(해송, 흑송)
남해안과 섬 지방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는 강릉, 서쪽은 경기도까지 남한의 바다를 끼고 대체로 십여 리 남짓한 사이에 벨트 모양으로 자란다. 그러나 그 강인한 생명력은 본래 소나무의 생활터전인 내륙 깊숙이까지도 들어가 당당히 경쟁하고 있어서 해송이라는 그의 별명이 무색해 지는 경우도 흔하다. 일본 남부와 중국의 일부에도 분포하며 우리와 마찬가지로 바닷가에 자란다.
소나무의 줄기가 붉은 것과는 달리 해송은 새까만 껍질을 가지므로 흑송(黑松)이라 하였는데, 순수 우리말로 검솔이라 하다가 곰솔이 되었다. 자라는 곳으로 보아서는 내륙에도 흔히 자라므로 해송보다는 곰솔이 더 적합할 것 같다.
소나무와 곰솔은 유전적으로 아주 가까운 사이다. 그래서 흔히 소나무종류를 이야기 할 때 이 둘을 묶어서 한 다발에 바늘잎이 둘씩 붙어 있다고 이엽송(二葉松), 나무의 성질이 단단하다하여 경송(硬松)이라 부른다.
곰솔의 껍질은 강렬한 자외선에 타 버린 듯 까맣게 보인다. 또 바늘잎은 너무 억세어 손바닥으로 눌러보면 찔릴 정도로 딱딱하고 새순이 나올 때는 회갈색이 된다. 반면에 소나무는 아름다운 붉은 피부를 갖고 잎이 보드라우며 새순은 적갈색이다. 이런 특성을 두고 곰솔은 남성적이고 소나무는 여성적이라고 말한다.
꽃가루를 받아 교배를 시키면 두 나무의 중간쯤 되는 ‘중곰솔’이란튀기가 생긴다. 자연상태에서도 흔히 볼 수 있으며 양부모의 좋은 점을 물려받아 더 빨리 자라고 더 곧게 되는 성질을 갖기도 한다. 물론 못된 점만 닮은 망나니도 태어나는 것은 동물의 세계나 마찬가지다. 곰솔은 어릴 때 생장이 대단히 빨라서 소나무를 능가하지만 나이를 먹어 가면 추월당하고 만다. 또 나무의 성질은 소나무 보다 못하나 곧게 자라는 경향이 있어서 남부지방의 바닷가에는 심을 만하다.
상록침엽수 교목으로 수고 20m이상, 직경 1m까지 크며 꽃은 일가화로 5월에 피며 열매는 이듬 해 9월에 익는다. 소나무와 비슷하나 수피가 검고 겨울눈이 회백색이며 잎이 훨씬 억세다.
만주곰솔(만주흑송)
우리나라 북부에서 만주지방에 걸쳐 자라는 상록 침엽수로서 곰솔과 비슷하다. 높이 15m, 지름 1m가까이 자라는 큰 나무이다. 껍질은 잿빛을 띤 검은색으로 거북등처럼 깊게 갈라진다. 잎은 단단하고 뾰족하지만 곰솔보다는 덜 억세다. 곰솔과의 차이점은 곰솔의 겨울눈 색깔이 회백색인 것에 비하여 만주곰솔은 소나무와 거의 같은 적갈색인 점이 다르다. 북한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만주곰솔 몇 그루가 있다.
반송
중국 원산이며 상록침엽수 교목으로 나무높이15m, 지름 1∼2m에 이르고 잎은 3개씩 모여나기하며 단면이 삼각형을 이룬다. 꽃은 1가화로 5월에 피고 솔방울은 이듬 해 10월에 익는다.
소나무와 잎이나 열매, 꽃모양 등은 같다. 다만 소나무는 줄기가 하나이나 반송은 밑에서부터 줄기가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특징이 있다. 정원수로 흔히 심고 있으며 사람들이 일부러 육종한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산에 흔히 자라는 나무이다.
백송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중국을 왕래하던 사신에 의하여 처음 심겨지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나무껍질이 흰 얼룩무늬를 나타내기 때문에 백송(白松)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백골송(白骨松)이라고도 하며 북한이름은 흰소나무이다. 생장이 지극히 느리고 옮겨심기가 어려운 나무로서 예부터 귀하게 여겨온 수종이다. 따라서 큰 나무는 모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백송은 서울에 집중적으로 몰려있는데 이는 중국을 왕래하던 사신이 가져온 백송을 자기가 살던 곳에 심었기 때문이다.
처진소나무
처진소나무는 소나무이 한 품종으로 가지가 밑으로 처지는 것이 일반 소나무와의 차이점이다. 경북 청도군의 운문사 처진소나무와 매전면의 처진소나무 및 최근에 천연기념물 409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는 경북 울진군 근남면 행곡리의 처진소나무 등이 있다.
황금소나무
잎의 아래 부분을 제외한 전체가 황금빛을 띄는 소나무의 한 품종이다. 희귀한 수종이며 아름다운 황금색 때문에 조경수로 각광을 받고 있다. 소나무의 돌연변이로서 생긴 것으로 짐작하며 시험장 및 개인 농원에서 증식하여 고가로 거래되고 있다.
자연상태의 것은 1987년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에서 처음으로 황금소나무를 발견했으나, 관리소홀로 1995년 죽어버렸다. 이후 충청북도를 비롯한 몇 군데서 새로 황금소나무를 발견하였다는 보고가 있다.
용송(용소나무)
가지가 용틀임애서 구불거린다고 하여 용소나무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 구불거리는 가지는 유전적인 요소 때문이다.
둥근소나무
가지가 지표면을 따라 거의수평으로 발달해서 가지의 모양이 반구형이다. 가지와 잎이 빽빽하게 발달하고 아랫 가지가 생명력이 강하여 오래 살아남는다.
왕솔나무(대왕송)
미국 남부의 대서양쪽 해안을 따라 자라는 상록침엽수 교목으로 우리나라에는 1930년경 수입되었다. 잎이 3개씩 모여 나고 잎 길이가 20∼40cm에 이르며 주로 남부 지방에 흔히 조경수로 심고 있다.
리기다소나무
북미, 대서양 연안 원산으로 1907년에 수입되어 척박한 임지나 황폐지의 복구를 위한 사방조림 수종으로 전국에 많이 심겨져 있다. 민족의 위대한 유산인 팔만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해인사 장경각 4채의 건물은 불가에서 말하는 108번뇌를 상징하여 108개의 기둥으로 이루어져 있다. 재질은 느티나무, 잣나무, 소나무, 전나무, 상수리나무로 만들어져 있는데 동사간장 6개의 기둥 중 하나가 리기다소나무이다. 70년대에 보수를 하면서 기둥을 갈아 넣을 때 들어간 것이다. 우리의 귀중한 문화재에 난데없이 리기다소나무가 나타나는 것이 바로 안타까운 우리의 문화재 보수의 현실이다.
상록침엽수 교목으로서 나무높이 20m, 지름 1m까지 자란다. 나무껍질은 소나무와 같이 생겼고 특징적인 것은 줄기에 있는 부정아에서 잎이 다발로 돋아나서 다른 소나무 종류와 쉽게 구분된다. 잎은 3개씩 모여나기하고 꽃은 1가화로 5월에 피고 솔방울은 다음 해 9월에 갈색으로 익으며 실편 끝에는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방크스소나무
북아메리카 원산으로서 리기다소나무와 같이 거의 같은 시기에 수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나무높이 25m, 지름 50cm에 이르는 상록침엽수 교목이다. 나무껍질은 흑갈색이며 좁고 깊이 갈라진다. 겨울눈은 연한 갈색이다. 잎은 2엽씩 모여나기하며 잎의 길이는 2∼4cm로서 소나무종류의 잎으로서는 매우 짧다. 꽃은 1가화로 황갈색이며 5월에 핀다. 솔방울은 길이 3∼5cm정도이고 달걀모양의 원추형으로 노랑 잿빛으로서 대개 안으로 꼬부라지고 실편이 오랫동안 벌어지지 않아 매우 단단하다. 목재는 용재, 펄프재 등으로 쓰인다.
테다소나무
미국 남부지역에 군락을 이루어 자라는 소나무 종류들을 통틀어 'southern pine'이라고 한다. 상록침엽수로 높이 25m, 지름이 두 아름정도 자라나 대부분은 지름 20~40cm정도이다. 껍질은 짙은 회색으로 거북등처럼 갈라진다. 잎은 3개씩 모여 나며 딱딱하다. 솔방울은 가늘고 긴 타원형이며 연한 적갈색을 띤다.
수입하여 우리나라에 심고 있으나 추위에 약하여 남부지방에 제한적으로 심고 있다. 추위에 강한 리기다소나무와 교배하여 리기테다소나무라는 교잡종도 있다. 리기다소나무와 비슷하나 줄기에 부정아가 잘 나오지 않고 잎의 길이가 리기다소나무 보다 더 길다. 리기다소나무 8~13cm 정도이나 테다소나무는 15~23cm에 이른다.
풍겐스소나무
미국에서 수입하여 심고 있는 상록침엽수 교목이다. 2엽씩 모여나기하며 잎의 길이는 2∼4cm로서 방크스소나무 잎처럼 매우 짧다. 솔방울은 길이 3∼5cm 정도이고 달걀모양의 원추형으로 억센 가시가 발달하며 방크스와는 달리 오래되면 실편이 벌어진다.
출처 : 우리숲(http://www.forestkorea.org/main.asp)
자료제공 : 박상진 (경북대학교 임산공학과 교수)
'흙·땅【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수오 구찌뽕 (0) | 2010.01.31 |
---|---|
[스크랩] ‘인류보다 오래된 숲’… 그늘조차 신비로운 아름드리 나무들 (0) | 2009.08.18 |
꽃복숭아(능수도화) (0) | 2009.07.15 |
돈이 되는 나무 ⑿ 소나무〈마지막회〉 (0) | 2009.06.19 |
돈이 되는 나무 ⑾ 왕벚나무 (0) | 2009.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