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덕궁 연경당 투명한 방과 빈 마당이 어울려 비움의 미학을 완성한다. 비움의 미학은 채와 채 사이에 다양한 관계 맺기를 유발한다. |
|
![]() |
![]() |
![]() |
청풍 도화리 고가 ‘이쪽 마당-광-건너편 마당-건너편 광-그 너머 마당’의 다섯 겹 공간은 빈 마당의 작품이다. |
수애당 솟을대문과 중문이 겹치는 이중 틀은 동선여정에 특별 |
|
비움의 쓸모 있음
|
|
|
'미 학【美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옥미학 25> '원통'과 '순환' (0) | 2010.08.01 |
---|---|
<한옥미학 24> 자연과 하나되는 공간 (0) | 2010.08.01 |
<한옥미학 22> 빛과 그림자 (0) | 2010.08.01 |
<한옥미학 21> 휴먼 스케일 (0) | 2010.08.01 |
<한옥미학 20> 한옥의 '바람 길' (0) | 2010.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