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 학【美學】

<한옥미학 2> 어울림의 미학

by 禱憲 2010. 8. 1.
728x90

어울림의 미학

가부장의 사랑채가 중심이 되고, 안채는 어미 품처럼 자잘한 채를 넉넉히 품는다

한옥은 먼발치서 전체 모습을 봐야 한다. 집은 주인의 얼굴이자 성품이다. 한국에서 나이 먹는 지혜 가운데 하나가 먼발치서 뒷짐 지고 눈을 지그시 감은 채 집의 앉은 품새를 보고 그 집의 가운을 읽어내는 일이다. 집의 전경에서는 그만큼 집 주인과 가족에 대한 많은 정보가 읽힌다. 하물며 유교문명 시대 때 농촌 지역공동체의 지배계층 주거였던 한옥은 더 말할 필요도 없다. 한옥의 전경은 집 주인의 인격미의 발로이다. 유교적 형식과 사회적 격식을 두루 갖추면서도 노장사상을 바닥에 깔아 아기자기한 공예미를 잊지 않았다. 엄격하면서도 소탈한 양면성이 동시에 느껴진다.

 

 

창덕궁 낙선재 이 집은 긴 수평선을 중심으로 지붕의 구성미와 담의 장식미가 잘 어우러진 조화가 뛰어나다. 기회의 검고
강한 수평선은 장미(壯美)를 빌려 직설적 명쾌함을 이뤘다.대상의 미적 가치가 막힘없이 구현되는 정심(情深)의 경지이다.

 

 

산을 등지고 논밭 한가운데 뿌리박듯 자리 잡은 한옥의 전경은 참으로 볼만한 거리이다. 안정적 수평선을 긋지만 그 속에서 크고 작은 지붕과 몸통이 사이좋게 어울린다. 유교문명의 위계를 반영하지만 더 깊은 속뜻은 그 위계가 서로의 사랑을 바탕으로 한 어울림을 노린다는 점이다. 유교사상의 가장 밑바닥에 ‘인(仁)’이 있다는 사실이다. 이처럼 한옥의 전경에서는 어울림의 미학을 읽어내야 한다. 가문을 책임 진 가부장의 사랑채가 중심을 잡지만 안채와의 다소곳한 어울림을 잊지 않는다. 안채는 어미의 품처럼 자잘한 채들을 넉넉하게 품는다.

 

공중에서 전체 구성을 보면 또 다른 장면이 펼쳐진다. 바깥행랑채, 사랑채, 안행랑채, 안채를 기본으로 여러 개의 크고 작은 채가 분화하고 이것들을 담는 마당이 짜이며 그 사이를 담이 가르고 문이 난다. 건곤이감 의 8괘를 이리 키우고 저리 잘라 사각형 맞추기를 한 것 같다. 오묘한 우주의 구성을 인간세계로 단순화시켜 놓은 구성이니 상대성의 변화무쌍함의 극치를 보여준다. 때로는 길한 한자를 본떠 복을 빌기도 했다. 채를 나누고 마당을 가르는 데에도 목적과 법칙이 있었다는 뜻이다. 모두 땅 위에 터 잡고 사는 인간살이를 평화롭게 보듬기 위한 것이었다.

  

 

글·사진 임석재 / 이화여대 건축학과 교수
동서양을 막론한 건축역사와 이론을 주 전공으로 하며 이를 바탕으로 문명비평도 함께 한다. 현재까지 37권의 저서를 집필했다. 공부로 익힌 건축이론을 설계에 응용하는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jyimis@empas.com
[출처]네이버캐스트 :: 오늘의 집 > 한옥미학   2010.03.01.   http://navercast.naver.com/home/koreanstyle/209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