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애당 전경 대장괘가 주는 대표적 미학이 장미(壯美)이다. 인간의 인내와 의지를 굳건히 드러내 강건함을 표현하는데, 이는 선비의 기개를 드러내는 집의 인상과 같은 말이다. 집의 전경을 보면 주인의 성품과 가문의 가풍을 알 수 있으니 이를 인상이라 한다. |
|
고성 어명기가옥 한옥 지붕의 처마 선을 일반화시키면 한국다운 곡선의 미학이 된다. 옷소매와 가락, 고름과 치마폭, 초가와 뒷동산이 모두 그렇다. 한옥 지붕은 화들짝 하늘을 향하지만 동시에 땅도 굽어보는 중용의 균형에서 아름다운 곡선이 나온다. |
'미 학【美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옥미학 12> 거울작용 (0) | 2010.08.01 |
---|---|
<한옥미학 11> 중첩 (0) | 2010.08.01 |
<한옥미학 9> 족자 (0) | 2010.08.01 |
<한옥미학 8> 자경 (0) | 2010.08.01 |
<한옥미학 7> 창과 문 (0) | 2010.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