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무의식 형태의 사상과 철학이 스며든 건축
|
|
|
이승업가옥 공간의 안팎과 구획을 최소화하며 늘 변하는 상태에 있는 한옥 공간은 불교의 공간개념에서 중요한 영향을 받았다. |
|
운조루 사랑채 처마를 뽑아 흰 회벽 바탕에 그림자를 실어 문양으로 활용하는 한옥의 특징은 유불도 삼대사상이 한 곳에서 만나는 장이다. |
|
창덕궁 연경당 사방으로 통하는 한옥공간은 불교의 공간개념인 원융무애를 유교의 반가에 적용한 것이다. |
|
'미 학【美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이들 감기에 항생제 안먹이려면... (0) | 2011.02.25 |
---|---|
독서여유산(讀書如遊山) (0) | 2010.10.07 |
<한옥미학 30> 엉성함의 미학 (0) | 2010.08.01 |
<한옥미학 29> 예술적 통일성의 미학 (0) | 2010.08.01 |
<한옥미학 28> 사회적 형식미 (0) | 2010.08.01 |